레포트라고 적고 숙제라고도 부르는 이것을 열심히 하기위해 찾아온 이들에게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정부,기관,개인차원에서 해결방안

또로롤리 롤롤 2021. 3. 17. 21:26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정부,기관,개인차원에서 해결방안

 

 

 

?학점쏘옥?_학점은행제,학위취득,자격... : 네이버 카페

학점은행제,학점은행,학위취득,자격증이수,사회복지사,보육교사,편입,유학,상담,레포트,고졸,사회복지사

cafe.naver.com

소개글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 정부, 기관, 개인(4가지)차원에서 해결방안 기술하시오.

목차

저출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 정부, 기관, 개인(4가지)차원에서 해결방안 기술하시오.

본문내용

우리나라는 현재 저출산에 대한 사회적 고민과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며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출산율 저하는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현상이다. 유럽의 학자들 중에는 높은 수준에 있었던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인구대치 수준의 일정한 수준에 이르면 안정될 것이라는 판단을 하였다. 그러나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실제 출산율은 1명대로 계속 감소하였다.

출산정책과 관련된 시대별로 표어를 살펴보면, 1960년대는 알맞게 낳아서 훌륭하게 키우자., 덮어놓고 낳다보면 거지꼴을 못 면한다., 1970년대는 딸아들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 1980년대는 잘 키운 딸 하나, 아들 부럽지 않다 등이다.

정부의 주도하에 34년간 실시된 가족계획사업은 가장 성공적인 정책이었지만, 현재 세계 최저수준의 출산율이라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이러한 낮은 출산율은 사회 모든 분야에서 새로운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저출산 문제로 인한 미래의 경제성장력의 저하, 사회보장체제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출산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대안들을 실행함에 있어 경제적 목적만이 추구된다면 불평등의 심화라는 또 다른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저출산은 가족관계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서 가족가치관에 지대한 변화를 가져왔고 그 결과 다양한 가족문제가 발생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참고 자료

우리나라 저출산의 원인 및 출산 장려 방안에 관한 연구-배민환

입법정책연구회(2006),출산장려를 위한 입법방향

삼성경제연구소,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기회와 위협, 2002, p.5-6

여성부, <주요 선진국과 한국의 출산휴가>, 2005

전광희, 충남대 저출산 정책 선호도 조사, 2005

OECD 한국경제보고서, 2004, '저출산-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정책적 대응방안(논문)-김승권 p.64

태그

#저출산문제해결#저출산#저출산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