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라고 적고 숙제라고도 부르는 이것을 열심히 하기위해 찾아온 이들에게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

또로롤리 롤롤 2021. 2. 10. 00:2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초중고급 등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제안해 봅시다

 

 

?학점쏘옥?_학점은행제,학위취득,자격... : 네이버 카페

학점은행제,학점은행,학위취득,자격증이수,사회복지사,보육교사,편입,유학,상담,레포트,고졸,사회복지사

cafe.naver.com

소개글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조사하고, 초중고급 등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고 제안해 봅시다,라는 주제를 가지고 10개의 참고문헌을 바탕으로 디테일하게 작성한 리포트입니다. 초급, 중급, 고급 순으로 각 호랑이와 곶감, 피천득의 나의 사랑하는 생활,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선정하여, 본문 일부를 수록하고 단계에 맞게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 제안했습니다. 교수 평가에서도 '참고 문헌을 많이 참조하고 초중고급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문학 작품을 선정해서 잘 제시하셨습니다'라는 내용과 함께 A를 받았습니다. 자료에 공을 들인 만큼 리포트 자료조사 및 적합한 내용을 요약, 발췌하고 방향을 설정할 때 많은 도움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목차

. 서론

. 본론

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2. 등급에 따른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의 선정 및 제안

가. 초급

-호랑이와 곶감(전래동화)

나. 중급

-나의 사랑하는 생활(피천득)

다. 고급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 결론

. 참고 문헌

.초급 텍스트 원문(호랑이와 곶감)

본문내용

. 본론

1.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자극적인 미디어의 영향으로 문학이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오히려 문학 작품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점점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그만큼 위상도 높아지고 있다. 그 이유를 찾기 위해 다양한 자료를 읽어본 결과, 여기에 부합하다고 판단된 신주철(2006)의 견해를 들어 제시해보고자 한다.

대학교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육 목표와 내용은 언어를 통한 인간의 생활과 사고 사이의 관계는 사무적인 관계로만 보고 있다. 이를 비판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바로 한국문학을 활용하는 한국어교육이다. (신주철, 2006,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하지만 과연 긍정적인 측면만이 존재할까. 문학 작품 활용도를 분석한 논문들을 살펴본 결과 문제점도 많았다. 이를 잘 분석한 도혜민(2015)의 논문은 비교적 명확한 이유를 제시한다.

교재별로 시대 및 장르의 비율이 편중되어 있어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문학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주지 못한다.

제시형태는 발췌, 요약, 전문 중에서 전문 수록이 제일 많았다. 이는 운문문학이 많이 소개되었기 때문이며 산문 문학은 전문 수록이 거의 없었다. 문학 작품의 올바른 이해와 감상을 위해 중급, 고급 단계의 교재에서라도 제시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의사 소통 기능 중에서는 읽기와 말하기로 연계되는 활동이 많았는데 그에 비해 쓰기와 듣기는 저조한 비율을 보였다. 문학 작품을 읽기 텍스트로만 보는 좁은 시각보다는 읽기 자료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중 략>

다. 고급

고급용으로 한국어 교재에 나온 문학 작품 들 중 6급용으로 소개된 소나기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 눈에 들어왔다. 전자보다는 후자가 권력의 일그러진 면을 그렸다는 점에서 좀 더 다양한 학습자들의 공감을 일으킬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권력처럼 다소 무겁지만 다양한 토론이 가능한 작품을 찾아보았다.

참고 자료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 작품 활용 방안 연구, 도혜민, 2015,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읽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니콜라 프라스키니, 2008, 고려대학교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김은정, 2012, 세종대학교 대학원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문학 교육론, 2013, 커뮤니케이션북스

호랑이와 곶감, 푸른숲 글방, 2019, 그린키즈

내가 사랑하는 생활, 피천득, 1977, 범우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1989, 문학과 지성사

한국문학개론, 배론원격평생교육원, 202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론, 2019

한국어 이해교육론 리포트, 2019 (필자가 과제로 제출한 것임)

태그

#한국문학개론#한국어교재#한국문학#배론#조세희#피천득#동화#한국어교사#교원자격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