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을 비교설명하고 장애인복지가 추구하는 방향에 관해서 서술하시오
?학점쏘옥?_학점은행제,학위취득,자격... : 네이버 카페
학점은행제,학점은행,학위취득,자격증이수,사회복지사,보육교사,편입,유학,상담,레포트,고졸,사회복지사
cafe.naver.com
소개글
장애의 개별적과 사회적 모델을 비교하고, 추구하는 방향에 따라 서술하였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2.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의 개념
1) 재활모델
2) 자립생활모델
3.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의 비교
결론 및 의견
본론
서론
미국의 사회학자 데종은 기존의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재활모델(rEHABILITATION mODEL)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자립생활모델(iNDEPENDENT lIVING mODEL)의 등장이 본격화되었다. 이후에 전문가가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려던 것에서 장애인 스스로가 자신의 삶의 방향을 결정하고 책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기게 되었다. 이에 본론에서는 자립생활이란 장애인이 의존으로부터 벗어나 자기 삶의 통제권을 회복하여 역량이 강화된 상태로,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
1. 장애인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패러다임(PARADIGM)이란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 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말한다.
지금까지의 수용시설 중심의 접근방식에서는 장애인은 주로 환자로 간주되었으며, 의료적 모델에 기초한 관련 분야의 전문가에 의한 보호관리계획에 따라 통제치료하는 것이 장애인복지 또는 장애인서비스의 목표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장애인을 사회로부터 격리하여 수용하는 것은 장애인의 인권을 무시한 비인도적 접근이라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탈시설화 및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보호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장애는 장애인 본인의 개인적이며 개별적인 문제가 아니라 그를 둘러싼 사회 및 환경과의 역동적인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이며, 따라서 재활의 목표는 훈련을 통하여 장애인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를 방해하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환경 요인들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난 가장 큰 이유는 제공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반드시 장애인의 참여가 전제되기 때문이다. 기존 제공자 중심의 패러다임이란 장애인의 신체적, 심리적, 직업적 잠재능력을 최대한 회복시켜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이 없도록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 자료
김종인 외(2007), 장애인복지론, 서현사
유태완 (2017), 장애인복지론, 창지사
태그
'레포트라고 적고 숙제라고도 부르는 이것을 열심히 하기위해 찾아온 이들에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사례 중, 선택적 주의가 잘 적용된 사례 (0) | 2021.03.10 |
---|---|
항상성의 정해진 환경유지 (0) | 2021.03.10 |
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사회관계 영역 (0) | 2021.03.09 |
긍정적인 정서에 비해 부정적인 정서가 더 민감하고 다양한 이유 (0) | 2021.03.09 |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을 다각적으로 비교하고 공통점과 차이점 (0) | 2021.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