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포트라고 적고 숙제라고도 부르는 이것을 열심히 하기위해 찾아온 이들에게

의료사회사업의 기능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의료사회사업의 기능과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주요쟁점과 과제에 대해 작성하시오

 

 

?학점쏘옥?_학점은행제,학위취득,자격... : 네이버 카페

학점은행제,학점은행,학위취득,자격증이수,사회복지사,보육교사,편입,유학,상담,레포트,고졸,사회복지사

cafe.naver.com

소개글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기능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각각 다섯 가지 이상 하위요인이 무엇인지 작성하고,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주요 쟁점과 과제에 대해 조사 하고 향후 방향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도록 한다.

목차

. 서론

. 본론

1.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기능

1) 일반적 기능의 하위요인

2) 문제중심적 기능의 하위요인

2.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주요 쟁점과 과제(3가지 이상)

1) 의료사회사업 서비스에 대한 인식부족

2) 의료사회복지사의 채용규정의 부적절성

3) 의료사회사업 교육의 부족

4) 프로그램의 명확성과 통합성 결여

5) 의료사회복지사 역할에 대한 홍보부족

3. 우리나라 의료사회사업의 향후 방향

1) 진료비 지원사업을 위한 자원 확보

2) 의료사회사업 후원회 조성

3) 원내 각종 모금활동의 공동모금화

4) 교육 업무 활성화

5) 사회사업위원회 활성화

4. 나의 의견

.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서론

질병의 책임은 개인과 가족에게 돌렸던 과거의 생각들이 바뀌어져, 건강유지와 회복 그리고 예방에 대해 사회가 책임져야 한다는 데서 의료사회사업의 거시적인 개념이 출발되었다. 뿐만 아니라 의료사회사업가들은 의료팀의 일원으로, 여러 의료기관 내에서 자문 또는 협의 진단하는 일과 비전문가의 훈련 및 정책개발 등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가족상담, 유전상담, 낙태상담, 알콜 중독자 치료, 모자보건 및 노인치료를 위한 진료소 등과 같은 지역사회진료소와 특수 진료소가 생기면서 종래의 병원 사회사업에서 지역사회로 그 장이 확대되었다. 그러므로 거시적인 입장에서의 의료사회사업이란 질병의 예방과 건강의 증진 및 개발지향적인 지역사회 의료복지를 달성하기 위해 보건 및 의료분야에 대한 제반의 시책과 시설을 포함한 제도와 정책에서 사회사업가가 수행하는 제반 활동 영역이다.

<중 략>

대부분이 종합병원에서는 각종 제위원회가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사회사업위원회 역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예로, W병원의 사회사업위원회의 기능을 살펴보면 사회사업서비스의 적절성과 효율성에 관한 사항 환자들에 대해 수행된 서비스의 평가(입원환자, 응급환자, 가정건강보호계획이 제시되는 환자) 의무기록의 사용에 관한 사항(의무기록의 활용과 사회사업서비스의 기록) 지역사회자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평가 사회사업 업무 수행을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을 심의?의결한다고 되어 있다. 제위원회에서의 활동에서 의사결정 이외에도 의료사회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의료사회복지사는 각종 활동영역에서 뿐만이 아니라 부족한 인력을 사회사업위원을 통하여 일부 해소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위원회의 위원이나 의료사회사업과 이외의 직원의 경우에는 내부자원봉사자가 자원이라고 볼 수 있겠다.

참고 자료

김태진. 사회보장론.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3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건강보험주요통계, 2010

신섭중. 사회보장정책론. 대학출판사, 1999

신영석. 의료급여제도의 성과와 발전방향. 보건복지포럼. 2010

태그

#의료사회사업#의료사업#의료사업쟁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