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포트라고 적고 숙제라고도 부르는 이것을 열심히 하기위해 찾아온 이들에게

지역사회복지개념으로서 [마을단위 사업] 이 주민참여, 주민통합의 성과를 갖고 오는지

지역사회복지개념으로서 최근 많이 이루어지는 [마을단위 사업] 이 주민참여, 주민통합의 성과를 갖고 오는지에 대해 토론합시다.

 

 

?학점쏘옥?_학점은행제,학위취득,자격... : 네이버 카페

학점은행제,학점은행,학위취득,자격증이수,사회복지사,보육교사,편입,유학,상담,레포트,고졸,사회복지사

cafe.naver.com

소개글

마을단위의 사업을 진행하면서 주민참여와 주민통합이 되는지 서술하였습니다.

목차

1. 서론

1) 마을단위 사업의 개념

2. 본론

1) 국내 마을단위 사업의 현주소

2) 계획이동이론으로 바라본 주민참여

3) 사회적 자본

4) 하얀민들레 생태마을 사업 예시

3. 결론

1) 마을단위 사업과 주민 통합성

본문내용

1. 마을단위 사업의 개념

우리나라 농촌개발정책은 중앙 정부의 주도하에 시행되는 하향식 접근이었다가, 농촌 발전의 핵심 요인인 주민 참여를 소홀히 했다는 우려가 있어 2000년대 이후 주민 주도의 상향식 접근으로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이를 계기로 농촌이 단순한 물류 생산과, 농민들의 생활 공간이라는 인식을 넘어 자연 환경의 보존과 전통 문화 계승과 같은 관광 개발 자원으로 식별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농촌 마을은 농업 이외의 소득 확보와 관광객 유치 등의 목표를 가지고 개별적으로 마을 단위 사업에 뛰어들었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마을권역단위 종합 정비사업이다. 마을권역단위 종합 정시사업은 2004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산어촌지역 개발 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정으로 시작되었으며, 2005년 시작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을 거쳐 2010년에 통합된 대표적인 주민참여형 지역개발사업으로 손꼽힌다.

마을권역단위 사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을권역단위 사업은 사업 특성 상 기획부터 사업 운영, 이후 유지까지 지역 마을 주민들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농민들의 소득 확보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공감대와 공동체 의식을 형성해 주민들의 참여 의식을 높이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으로 행정적인 지원 없이도 살아갈 수 있는 주민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지역에 잠재되어 있는 자원을 특성화해 지역 주민들이 자립할 수 있는 금전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 목적을 둔다. 종합 정비 사업뿐만 아니라 다른 마을단위 사업 또한 맥락을 같이 하고 있으며, 주민 참여와 주민 통합을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참고 자료

고진숙, 서영수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한 사회적 자본과 주민참여의도 관계 분석

정인훈, 정진주, 최효승 주민이 참여하는 농촌지원사업의 특성

이연택, 진보라 문화관광해설사의 직무틋어이 직무만족과 지속의지에 미치는 영향

고동완, 사회적 자본 구축을 위한 지속 가능한 농촌관광개발 모형

태그

#보육교사#사회복지사#사이버대#교육원#학점제#마을단위#마을단위사업#지역사회복지사업